기타 꿀팁

세계 전기차 시장 1등, 비야디 한국 진출 아토 3 / 테슬라 비교

울월스 2025. 4. 4. 10:29
728x90
반응형
SMALL

🔋세계 전기차 시장의 제왕, BYD(비야디)를 아시나요?

한때 "테슬라 천하"로 여겨졌던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조용히, 그러나 강력하게 존재감을 키워온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중국의 BYD(比亚迪)입니다.

2023년, BYD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며, 테슬라를 제치고 EV 시장의 절대 강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 BYD는 어떤 회사인가?

설립: 1995년, 중국 선전(Shenzhen)

초기 사업: 휴대폰 배터리 제조업체로 출발

전환점: 2003년 자동차 산업 진출 이후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배터리 등으로 사업 확장

주요 투자자: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2008년 10% 지분 인수, 최근 상당 부분 매도)

BYD는 '배터리부터 자동차 생산까지 수직계열화'를 강점으로 삼아, 생산 원가 경쟁력을 갖춘 몇 안 되는 EV 업체입니다. 특히 자체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는 안정성과 수명을 모두 확보해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 비야디 EV 판매량 현황 (2023년 기준)

BYD: 약 302만 대 (순수 전기차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

테슬라: 약 181만 대 (순수 전기차만)

BYD는 특히 중국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막강한 판매량을 자랑하며, 최근에는 유럽, 동남아, 남미 등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을 진행 중입니다.

 
 

비야디 전기차 내부 사진인데 정말 고급 세단 느낌이 나죠!


📈 최근 BYD 관련 주식 소식

 

1. 주가 동향 (2024년 말~2025년 초)

BYD 주가는 2023년 하반기부터 다소 조정을 받았지만, 2025년 들어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정부의 EV 보조금 재정책 발표

해외 수출 확대: 특히 브라질, 태국, 헝가리 공장 건설 가시화

자율주행 기술 및 AI 통합 전기차 공개

2. 워렌 버핏의 지분 추가 매각

2023년부터 계속 이어진 버크셔 해서웨이의 BYD 지분 매각은 투자자 사이에서 "신호탄"으로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차원이라는 해석이 많으며, 회사 펀더멘털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모습입니다.

3. 테슬라와의 경쟁 심화

BYD는 테슬라 대비 가격 경쟁력이 매우 뛰어나며, 모델별 선택지도 풍부합니다.

중국에서는 약 1만~2만 달러대의 EV가 BYD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반면, 테슬라는 상대적으로 고가 전략을 고수 중입니다.


🇰🇷 BYD, 드디어 한국 상륙! 아토 3 보급형 전기차

 
 

보급형 전기차 ‘아토3(Atto 3)’로 국내 소비자와 첫 만남

세계 전기차 시장의 강자 BYD(비야디)가 2024년 말, 보급형 전기 SUV ‘아토3(Atto 3)’를 앞세워 한국 승용차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미 전기버스, 전기트럭 등 상용차 분야에서는 국내에 진출해 있었지만, 승용 전기차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 ‘아토3(Atto 3)’ – 어떤 차인가?

항목
내용
모델명
Atto 3
출시 국가
중국, 유럽, 호주 등에서 인기
국내 출시 시기
2024년 하반기 (공식 발표에 따르면)
차급
준중형 전기 SUV (C-Segment)
1회 충전 주행거리
약 420km (WLTP 기준)
배터리
BYD 자체 개발 블레이드 배터리 탑재 (LFP)
가격대
4천만 원 안팎 예상 (보조금 적용 시 3천만 원대 가능성)
주행 성능
150kW 모터 (약 204마력), 0→100km/h 7.3초

아토3는 가격 대비 실속 있는 성능과 안전성으로 유럽에서 꽤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도 테슬라 모델3, 현대 코나 EV, 니로 EV 등과 경쟁할 전망입니다.

🔍 왜 한국 시장에 진출했을까?

BYD는 이미 유럽과 동남아, 남미 시장에서 판매망을 넓히고 있으며, 한국은 다음 전략적 거점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전기차에 대한 높은 관심도 – 친환경차 비중 확대 중
  2. 충전 인프라 확충 단계 진입
  3. 중국 EV에 대한 수요 증가 – 가성비를 원하는 소비층 중심
  4. 상용차에서의 시장 반응 확인 – BYD 전기버스는 이미 서울·부산 등에서 운행 중

BYD는 이번 아토3 출시를 기점으로 향후 해치백형 전기차 돌핀(Dolphin), 세단형 시일(Seal) 등의 국내 출시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비야디 한국 진출 관련 주식 시장 반응은?

 
 
  • BYD의 한국 시장 진출 소식은 국내 2차전지 관련주, 완성차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특히 BYD가 배터리 자체 생산 체계를 갖춘 기업인 만큼, 배터리 셀·소재 기업과의 경쟁/협력 여부가 시장 관심 포인트입니다.
  • 국내 유통은 현재 KG모빌리티(구 쌍용차)와 협업설이 나오고 있으며, 향후 유통망/서비스 센터 구축 방식도 주목할 만합니다.

 


“BYD의 한국 진출은 단순한 신차 출시가 아니라, 글로벌 EV 강자의 영토 확장 신호탄이다.”

앞으로의 BYD는 테슬라와 경쟁하면서도, 자체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인 주가 흐름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신에너지 산업’의 리더로서 BYD의 위치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투자 관점에서의 BYD 장점 / 리스크 요약 

👍 장점:

중국 내수 EV 수요 지속 확대

정부 보조금 및 친환경 정책 수혜

수직계열화로 인한 원가 경쟁력

글로벌 진출 본격화 (유럽·남미 등)

⚠️ 리스크:

테슬라, 현대차, 폭스바겐 등 글로벌 경쟁 심화

기술 혁신 속도 vs 시장 변화 속도

지정학적 리스크 (미중 갈등, 유럽의 대중 규제 등)

728x90
반응형
LIST